본문 바로가기

정리

[업무] 취업규칙의 A to Z ! 2편: 취업규칙 신고방법(실무에 필요한 내용만!)

2021/07/29_02

 

취업규칙의 A to Z !

기존 글이 너무 길어서 분리하였습니다.

 

 


취업규칙이 뭔지 감도 안잡히는 분

작성하는 방법, 변경신고할 때 어떻게 수정해야하는지

취업규칙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https://hrdrg.tistory.com/23

 

[업무] 취업규칙의 A to Z ! 통합편(실무에 필요한 내용만!)

2021/07/29_01 취업규칙의 A to Z ! 기존 글이 너무 길어서 분리하였습니다. 본 글은 통합편으로 작성부터 신고까지 전체 내용이 나와있습니다. 취업규칙이 무엇인지 감도 안잡히는 분, 취업규칙을 어

hrdrg.tistory.com


★★ 바쁘신 일개미들, 신고 방법만 알고 싶다하시면 ★★

★★ 아래부터 보시면 됩니다 ★★

 

신고 방법은?

위 서류가 준비가 다 되었다면 신고만 하면 됩니다!

 

전산으로 신고하거나 우편 발송 혹은 방문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만

인터넷으로 접수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저는 변경신고를 했기 때문에 아래 캡쳐는 변경신고 화면이지만

최초 신고도 같은 경로와 맥락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민원마당에 접속합니다.

https://minwon.moel.go.kr/minwon2008/index_new.do

 

민원마당

 

minwon.moel.go.kr

 

 

 

 

 

최초 화면에서

"취업규칙" 검색

 

 

 

 

 

 

 

민원신청 및 서식에 2개 검색 결과가 나옵니다.

최초 신고 시에는 위에 있는 취업규칙신고서,

변경 신고 시에는 아래에 있는 취업규칙변경신고서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접수방법에 방문,우편,인터넷이 가능하다고 한번 더 나와있네요.

 

 

 

 

 

저는 회사의 공동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 했습니다.

상황에 맞게 하시면 될 듯 합니다.

 

개인으로는 어떤 형태로 되는지 모르겠지만

이 정도 업무 담당자라면 회사 공인인증서를 충분히 사용하는 분이실테니

편하게 기업으로 로그인 해줍니다.

 

 

 

 

 

 

위 체크된 필수 입력사항을 전부 입력하시고

근로자 수는 계에는 전체 근로자수 입력,

노동조합원 수는 있으면 쓰시고 없으면 0명,

그 옆 여/ 에는 여성근로자 수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제일 아래 의견 청취일 또는 동의일은

위에서 말씀드린 과반수 이상의 의견 청취 혹은 동의를 구해야하는,

그 부분에 대한 날짜입니다.

 

 

 

 

 

관할관서는 회사 소재지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구비서류를 잘 보셔야 하는데

아래 주황 박스를 보시면 항목당 1개의 파일만 첨부 가능하다고 되어있습니다.

 

 

1. 취업규칙

저도 하기 전에 인터넷 검색해보니 여기에

변경 전 취업규칙 넣으시는 분,

변경 후 취업규칙 넣으시는 분,

변경 전 후 대비표 넣으시는 분,

다양했는데 저는 변경 전후 내용을 비교한 서류를 포함한다고 되어있는

안내문구가 있어 

1 에 대비표를 첨부하였습니다.

 

 

 

2,3. 의견, 동의 받은 증명서류

파란색으로 표기해놓은 곳은

법적으로는 의견서나 동의서 둘 중 하나만 받으면 되는데

저는 동의서를 받아 2를 첨부하지않고

3을 첨부 후 접수를 넣었더니

2에 첨부가 되지 않았다고 접수로 넘어가지 않더라구요.

해서 똑같은 동의서 파일을 2와 3에 중복으로 첨부하여 처리했습니다.

 

 

 

4.  참고(추가)자료

여기도 위에서 말한 1 취업규칙에 무엇을 첨부하였는지에 따라

변경 후 취업규칙 넣으시는 분,

대비표 넣으시는 분 다양했지만

저는 1에 대비표를 넣었기 때문에 여긴 변경 후 취업규칙을 첨부하였습니다.

 

담당주무관의 업무편의성을 생각하여

변경 전 취업규칙도 첨부하는 분을 봤는데

변경 전 취업규칙은 이미 신고된 사항으로

담당주무관도 전산으로 조회가 가능하고

또 변경 후의 내용과 대비표를 비교하면

결국 변경 전의 내용도 파악이 되기 때문에

저는 굳이 첨부하지 않았습니다.

 

 

 

 

아래 신고인은 대표이사,

대리인은 담당자를 넣으시면 됩니다.

 

 

 

 

등록인 정보는 대표자, 실무자

누굴 적어야할지 애매해서 저같은 경우는 대표자를 넣었습니다.

다만 위 기재한 휴대전화로 처리 단계마다 안내 문자가 오니

혹 대표님께 문자가는 것이 불편하시다면

등록인을 본인으로 하시거나 번호만 본인 것으로 하시는 게 마음이 편하실 듯 합니다.

 

 

 

 

 

등록 접수를 하고 나면

민원신청 내역이 나옵니다.

민원 처리단계가

등록>접수>처리>완료

로 이루어져있는데 각 단계로 넘어갈 때마다 문자,메일이 옵니다.

 

통상 20~30일 정도가 걸린다고 들었는데

저는 24시간만에 처리가 되었습니다.

다른 특이사항이 없는지 종결로 완료되었다는 답이 있었고

 

혹 보완사항이 있다면 따로 연락이 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어나 문구를 이러이러한 것보다는 이것을 하는 것이 낫겠다.

이런식으로 피드백 받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 번에, 하루만에 통과되어 맘이 넘 편했습니다.

 

 

 

 

처음으로 아주아주 길게 글을 써보았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시절

취업규칙을 변경신고하라는 업무 지시를 받았는데

취업규칙이라는 것도 처음 들었고

변경신고하라는 지시가 설명의 전부였던 터라

(결국 미루다가 이제 변경신고 하였지만)

스스로 압박이 심했었습니다.

 

취업규칙 관련 업무는 발생 빈도가 적어

저같은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변경신고처럼 업무 자체가 발생하지 않으면 할 일이 없으니 배우기도 어렵고

직원 교체가 잦은 회사라면 어쩌면 저의 사수도 안해본 업무일 가능성이 있죠.

 

저같이 막막하신 분들을 위해서

이번에 변경신고하면서 1부터 10까지 팠던 저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길게 써봤습니다.

 

 

 

누군가에게 꼭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그럼 오늘도 일개미로 총총...